반응형 치우천황1 우리나라의 귀면과 도깨비 그리고 치우천황 이야기 2002 대한민국을 뜨겁게 달군 월드컵이후... 치우천황은 이제 낯설지 않게 대중문화속에 녹아 들었다. 보통 치후천황의 얼굴이라고 나온 월드컵의 문양들... 과연 우리네 조상들은 그런 치우천황의 얼굴이나 문양을 사용했을까? 아니면 현대의 어떠한 디자이너가 갖다 붙이기식, 밀어 붙이기식으로 탄생된 것은 아닐까? 경주 안압사에서 출토된 귀면와 (와: 즉 기와를 뜻한다) 이처럼 기와에 귀면을 사용한 이유는 단순하다. 바로 나쁜 귀신을 쫓아내고 액운을 멀리 하기 위해서다. 여기서 우리는 귀면 즉 귀신얼굴인 이 문양에 주목 하자. 귀면 = 도깨비라는 등식이 성립된다. 귀면, 귀신의 면상이란 뜻인데 여기에 도깨비 얼굴이라는 표현을 갖다 붙인 근거 또한 궁금하다. 정말 신라시대 사람들이 귀면을 도깨비 얼굴이라고 생각.. 2009. 8. 29.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