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술과 부적73 신년에 행하는 행운 주술 [헤이즐넛 행운 주술] 할로윈 데이처럼 이것도 민간에 뿌리 깊은 주술이다. 신년에 행하는 헤이즐넛 행운 주술 (Hazelnut Good Luck Charm) 이다. 준비할것 - 헤이즐넛 9개, 검은 덩굴 가지(가능하다면 마(麻)를 이용하도록 한다.) 뽀족한 드라이버 같은 것으로 헤이즐넛에 구멍을 뚫은 뒤, 덩굴 줄기로 9개를 모두 꿰도록 한다. 약간 넉넉하게 여유를 둔 뒤 둥글게 묶는다. 신년을 맞은 뒤 첫번째와 두번째 보름밤에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준비해둔 헤이즐넛을 불의 신에게 바쳐야한다. 방법은 꿴 헤이즐넛으로 촛불을 둘러싸도록 만든 뒤 다음의 주문을 외운다. 보고 읽지 말도록 ... 영력의 효염을 기대할수 없다. 반드시 암기하여 당신의 내부에 생성되어 있는 만트라의 힘이 상조하도록 하여야한다. " 원을 그린 아홉개의.. 2009. 8. 27. 사업, 장사등 경제적인 대운을 얻고 싶을때.. 요상하게 생각할지도 모르지만 이 주술은 정말 오래된, 그만큼 역사가 깊은 주술이다. 무려 로마시대도 통용된 주술이었다. 을 사용하라. 그림처럼 두 마리의 사자 부적을 만들어 매일 아침 이것을 향해 두 개의 세모꼴을 정성껏 그어라. 끝나고 난 다음엔 이 부적을 몸에 지니고 다녀라. 운명의 여신이 그대에게 미소를 보내어 사업에 대운이 트일 것이다. ※ 방법 두 개의 세모꼴은 그림과 같이 하며 손가락으로 허공에 긋는다. 두 개의 세모꼴은 재산을 가져다 주고 신용을 만들어주며 두 마리의 사자는 재산을 지켜 주는 것으로 로마시대부터 사용되었다. 2009. 8. 27. 재물을 부르는 "용" / 용꿈 ★방 법 ▶ 재물의 따름은 보통 용의 문양이 필요하다. 용의 그림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이것을 지갑에 넣고 다녀야 한다. ▶ 용의 모든 형태가 있는 물건 혹은 그림이어야 하며, 여의주를 물고 있다면 자식이나 가까운자에게 재운을 전이 시킨다. ▶ 용의 그림을 삼등분하여 자신의 이름을 세번 적는다. ▶ 용의 그림이 그려지면 과거 복주머니에 넣고 다녔으나, 이것을 지갑이나 앞 호주머니에 넣어도 무방하다. ▶ 이것을 지녔을때에는 용은 재운(財運)과 기회를 뜻하므로 이런 경우는 낯선 사람은 피하는 것이 좋다. ★설 명 용꿈을 꾸면 보통 사람들은 복권을 사는 형세가 맞지만, 모두가 아닌것은 용꿈은 재운과 기회라는것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즉 재운에 해당하는 경우와 아주 좋은 기회를 갖게 됨을 가르키며 여의주는 태몽으.. 2009. 8. 27. 사업자금, 행사나 스폰서 확보를 위한 福在眼前 (복재안전) 중국에서 이 문양은 행운의 기운이 지금 곧 다가온다는 의미의 상징이다. 흔히 '복재안전'이라고 불려지는데 의미는 '바로 눈 앞에 복이 있다'는 것이다. 이 상징의 문양은 박쥐와 중국 옛날돈이 어우러져 구성된 것이다. 복을 부르는 박쥐가 돈을 안고 있으므로, 중국인들은 이 상징을 재물과 관련하여 더없는 행운의 상징으로 여겼다. 즉 이 상징을 급하게 돈이 필요하거나 사업자금을 마련해야 할 사람에게 금전운을 불러다줄 수 있는 상징으로 여겼던 것이다. 복권을 살 예정이라면 당첨의 행운을 더 가까이 부르기 위해 이 상징을 지녀보면 어떨까? 행사준비를 위한 자금이 필요해서 스폰서를 서둘러 잡아야 할 경우에도 이 상징을 지니면 용기가 솟지 않을까 ? 이 상징의 유래를 살펴보면, 박쥐는 중국에서 복을 부르는 신령한 동.. 2009. 8. 27. 승진,부귀, 행운을 위한 복록수( 福祿壽 ) 중국에서 재복을 가져다 준다는 전설의 동물이 복록수 이다. 높은 지위와 재산을 가질 수 있는 행운을 담은 중국의 사슴상징. 복록수(福祿壽)는 현세 중시적인 중국인들이 가장 좋아하는 세가지 것들이며, 따라서 이 세글자를 이용한 중국 상징, 부적들도 무척 많다. 그중에서도 특히 이 상징은 한 마리 사슴 위에 행복을 의미하는 '복(福)'과 수명을 의미하는 '수(壽)' 두 글자를 배치한 것인데, 사슴 '녹(鹿)'자가 봉급과 복을 의미하는 복 '녹(祿)' 자와 동음동성이기 때문에 상징 속에서는 보이지 않지만 실제로 복, 록, 수 세글자가 모두 담겨진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중국에서 사슴은 장수하는 신성한 동물로 여겨지며, 복과 선함을 의미한다. 중국인들의 일상삶에서 이 문양은 복, 높은 지위와 그에 따른 부귀영화.. 2009. 8. 27. 치유의 상징 [아브라카다브라(ABRACADABRA)] '아브라카다브라'라는 말은 TV용 만화주인공들도 쉽게 읊을 정도로 널리 알려진 치유의 주문이다. 요즘 이 아브라카다브라를 모 가수가 사용해서 대중적으로 알려 진것 같다. 원래 2세기경 기독교에서 이단으로 여겨지던 영지주의(Gnosis), 그노시스파의 한 종파인 바시리드파에서 질병이나 불행으로부터 지켜 달라는 의미에서 사용하던 주문인데, 주로 치료의 목적으로 사용했다고 한다. 병에 걸렸을 때, 마법의 힘으로 선한 정령을 불러 치료하고자 하는 소망이 담겨 있다. '아브라카다브라'라는 말의 원 뜻은 '뜻한 대로 될지어다'이다. 로마시대사람들은 병에 걸렸을 때 이 주문을 외웠을 뿐 아니라 이 단어를 역삼각형형태로 돌에 새기기도 하였으며, 금속에 조각해서 목에 걸어 부적으로 사용하기도 했고, 또한 조그만 종이에 .. 2009. 8. 27. 악몽을 쫓아주는 탈리스만 [숫자 탈리스만( Figure Talisman )] 중세 유럽에서 사용된 타리스만(부적)이다. 중세시대에 사용되던 탈리스만으로 편안한 잠을 위한 탈리스만으로 악몽을 쫓아준다. 여러 문화에서 사용되던 기호들을 모아놓은 이 탈리스만에서 한 가운데 새겨진 10은 서구의 문화를 상징하며 이 숫자를 둘러싸고 네곳에 각각 아랍어, 라틴어, 히브리어 등으로 100이라는 숫자가 새겨져 있다. 또한 외곽에 쓰여진 글자들은 룬문자중에서 알기즈Algiz 룬이 네 번, 그리고 힌두교의 옴AUM이 열 번 쓰여진 것이다. 유럽애들도 부적을 짬뽕해서 쓰는 버릇이 있는것 같다. 역시나 좋다는 것은 일단 저지르고 보는 것이 인간인 모양이다. 2009. 8. 27. 집안의 나쁜 기운들을 쫓아내주는 주술 중세 유럽에서 행했던 민간 주술이다. 『빗자루에는 전통적으로 마녀가 타고 날아다니는 교통 수단이라는 의미 말고도 다양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중세 영국에서 빗자루는 여성의 도구라고 여겨져 여성이 집에 없다는 표시로 문 밖에 빗자루를 걸어 두었다. 물푸레 나무나 헤더로 만들어진 빗자루는 집시의 결혼식에 사용되었다. '빗자루 결혼식'이라 알려진 예식에서는 신랑신부가 손을 잡고 빗자루를 사이에 놓고 앞뒤로 여러 차례 점프를 한다. 그러고 나서 신랑은 골풀로 된 반지를 신부의 손에 끼워준다.』 재료: 마당비나 빗자루, 향 방법: 달이 이지러지는 밤에 이 주술을 행한다. 집에서 가장 높은 곳에서부터 대문까지 뒷걸음질하며 빗자루를 쓸어내린다. 이는 나쁜 기운을 쫓아내는 상징적 행동이다. 집 문턱에 다다르면 복수하는.. 2009. 8. 27. 재정적 불운에서 벗어나고 싶을때 [사검의 부적] 촌스럽고 황당한 그림이지만 이 역시 부적이다. 그것도 이집트에서는 아주 유명한 부적이다. 일명 이라고 한다. 뱀숭배 사상은 어느 문명이나 마찬가지겠지만 이집트에서는 뱀이 곧 재물을 의미한다. 당신이 만일 일곱 마리의 뱀과 검의 마력을 불러들인다면 재정적인 곤란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당신은 우선 다음 그림과 같은 부적을 만들어 항상 돈이 든 지갑속에 넣고 다녀라. 그리고서 하루가 끝나 잠자리에 들기 전에 오늘을 반성하고 좋은 내일이 오기를 기원하라. 당신은 반드시 재운(財運)의 기회를 얻으리라. 은 일곱 마리 뱀의 지혜와 검의 위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집트 시대로부터 유래되어 온 것이다. 2009. 8. 27. 옴 마니 반메훔 ( Om Mani Padme Hum ) 티벳불교의 신도들에게 옴 마니 반메 훔은 암송하면 모든 해로운 힘들을 물리치는 데 효과가 있는 일종의 주술적 주문이다. '옴 마니 반메 훔'의 뜻은 '오! 연꽃 속의 보석이여!라고 풀이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주문이 신앙인들에게 갖는 의미는 단어자체의 뜻과는 별 관계가 없는 것 같다. 암송하는 행위 자체가 주술적 힘을 갖는 것이다. 이 주문은 우리에게도 그리 낯설지 않다. 얼마전 「왕건(王建)」이라는 드라마에서 미륵보살의 화신으로 등장하는 궁예와 신하들이 법회에서 이 주문을 외우는 모습이 자주 방영되었다. 또한 K2라는 죽음의 봉우리에 도전하는 산악등반대들의 모험을 그린「버티칼 리미트(Vertical Limit)」에서는 산악전문가인 몽고메리 윅(Montgomery Wick, 스콧 글렌 SCOTT GL.. 2009. 8. 27.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