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157

자연이 조각한 돌 미국의 그랜드캐니언에는 자연의 걸작품이라고 불리워도 손색이 없을 만큼 모양이 기괴하고 멋진 거석들이 많습니다. 인공의 미가 아닌 자연의 미를 느낄수 있는 자연의 작품들이죠. 코끼리를 닮은 거석들 모음입니다. 2010. 3. 21.
다람쥐과 동물 `마멋` 몽골에서는 흔희 볼수 있는 동물입니다. 마멋이라고 하죠. 다람쥐를 닯은 모습에 몸집은 토끼만 합니다. 주로 평원에 굴을 파고 사는 습성이 토끼랑 비슷합니다. 마멋은 몽골에 특히 많지만 전 북반구에 많이 서식하는 종이죠. 비슷한 종을 골라 보자면 미국의 그라운드 훅이나 우드척 정도 되겠네요. 몽골에 매가 많은 이유도 바로 이 마멋들 때문이라죠. 물론 몽골 사람은 이 마멋고기를 아주 즐깁니다. 털가죽도 이용하구요. 혹자들은 유럽에서 흑사병이 성행했을때 그 병원균은 몽고군의 유럽침공당시 이 마멋이 옮겨 왔다는 설도 있다죠. 흑사병의 병원균은 쥐벼룩이 옮긴다고 알고 있으나 흑사병은 세균에 의한 병입니다. 즉 박테리아병원균이 흑사병이죠. 몽골군이 유럽을 침공할당시 이 흑사병에 걸린 시체를 성안에 던져 넣었다는 기.. 2010. 3. 21.
북한에서 미군을 표현한 사상 포스터 음. 상당히 잔인하게 묘사된 부분도 없잖아 보입니다. 정치적 사상 포스터지만 북한이 미군을 보는 이미지는 왜곡의 단계를 넘어 정말 북한 사회에서 저렇게 미국을 생각하구나 하는 시각을 느낄수 있는 부분입니다. 저야 사상적 관점 보다는 탄압하는 강자의 모습을 저렇게 표현하여 사상적 시각을 유도하고 있는 점입니다. 우리가 마치 60~70년대 반공사상에 몰두하여 김일성을 붉은옷을 입은 거대 돼지(똘이장군이라는 반공만화)로 묘사한것과 비슷하다고 할수 있겠네요. 실제도 당시 빈번한 무장공비의 침입과 "공산당이 싫어요"라는 이승복 어린이의 보도로 반공에 대한 정신무장을 가일층 한것도 생각이 납니다. 사실 전 이 포스터를 보면서 혹여나 하는 일제의 침탈기간동안 모진 고문과 학살을 당한 우리 민족이 생각 납니다. 아마도.. 2010. 3. 21.
혀로 사물을 보는 브레인포트[Brainport] 혀로 사물을 본다. 어떻게? 정말 그럴수 있나?? 라는 물음표를 먼저 달게 된다. 안경?? 이 장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획기적인 장치라고 소개하고 있다. Oakley라는 회사가 만든 일명 '브레인포트(Briainport)라는 장비가 그것. 장비의 정확한 명칭은 Eye tech glasses로 소개하고 있다. 이 장비를 시연중인 사람은 이라크전쟁때 적의 포격으로 눈을 실명하게 된 Craig Lundberg 그는 실명을 했으나 이 브레인포트 덕분에 사물을 인식하게 되었다고 한다. 그렇다면 도대체 어떻게 혀로 사물을 인식한다는 것인지... 안경처럼 쓰고 있는 카메라로 주변 사물의 이미지를 찍는다. 이 이미지는 파일처럼 메모리에 저장되는 대신 특별한 칩을 통해 일종의 전기적 자극으로 변환 시킨다. 사용자가 물고.. 2010. 3. 21.
고양이와 다람쥐 그리고 쥐 아마도 다람쥐를 자기 새끼라고 생각하는 모양입니다. 그리고 새끼도 마찬가지로 형제지간처럼 장난 치며 다람쥐와 놀고 있군요. 다람쥐는 고양이 젖도 빨고... 참... 묘한 동물의 세계입니다. 어미고양이의 모성본능이야 이해가 되지만 새끼 고양이도 마치 형제지간이라고 생각하는것 같습니다. 다람쥐는 그야말로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것인지... 솔직히 같은 쥐과 아니겠습니까? 이건 한술 더 뜨는 녀석들. 마치 톰과 제리(이녀석들은 앙숙이지) 같은 녀석들 물론 사이 좋을때.. 그런때가 있었나? 흐흐... 2010. 3. 20.
일본에서 아주 인기 절정의 바구니고양이 워~ 너므 귀엽군요. 머리위에 각종 장식들이랑 너므 잘 어울림.. 요녀석은 일본에서 블로그에 올라온 뒤로 아주 유명세를 타고 있는 녀석입니다. 친구들과 함께 ^^ 녀석 사진 찍을때마다 눈을 감네요. 머리가 크죠. 그런 고양이가 나이가 들었다는 증거랍니다. 고양이가 나이를 먹으면 몸은 자라지 않아도 머리는 자란다고 하네요. 그래서 머리가 큰 고양이는 이제 나이가 지긋이 먹은 고양이란거... 사진 찍을때 마다 간지 포즈로 눈을 감고 있는데 혹 눈을 뜨지 못하는 고양이 아닌가 하시면 전혀 아주 씩씩하고 귀여운 정상적인 고양이란거... ㅋ 넘 귀여워~~ 2010. 3. 20.
동물이자 식물인 푸른민달팽이[Green Sea Slug] 푸른민달팽이 정식 학명 Elysia Chlorotica. 푸른민달팽이의 구성은 반은 식물이고 반은 동물이다. 미국 사우스 플로리다 연구진에 의하면 캐다나 갯벌에 서식하는 푸른민달팽이는 식물의 특징인 광합성을 하는 것을 밝혀 냈다고 합니다. 즉 다세포 동물에서 엽록소를 생성 하는 능력을 가진 동물이라는 것이죠. 즉 동물처럼 해조류를 섭취해서 에너지로 바꿀수도 있고 태양빛을 이용해 광합성 작용을 하여 에너지를 충족시킬수 있다는 것이죠. 그렇기때문에 하루 일정량의 햇빛만 있으면 먹이 없이도 살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는 어떻게 생기느냐 하는 것인데 처음 새끼일때는 이런 광합성 능력이 없습니다. 말그대로 달팽이죠. 동물입니다. 그러나 해조류를 섭취하면서 해조류의 광합성 능력을 빼앗아 오게 된다는 것이죠. 즉 자라.. 2010. 3. 20.
맹독의 독사들 독사하면 항상 거론되는 이 녀석의 이름은 블랙맘바[Black Mamba] 아프리카에서 이녀석에 물리면 사형선고나 다름없다고 합니다. 맹독성 독을 지닌 독사중에서도 가장 치명적인 독을 지닌 녀석입니다. 블랙맘바는 통칭이고 종류는 블랙맘바와 그린맘바가 있습니다. 그린맘바가 블랙맘바에 비해 체구가 작고 성격도 온순한 편이라고 합니다만 독의 강도는 똑 같습니다. 블랙이래서 검은 뱀은 아닙니다. 블랙이 붙은 이유는 녀석의 입속이 검은색이기 때문입니다. 평균길이 3m정도이고 최대 4.3m까지 자란다고 하는군요. 그린맘바는 2.5m정도 블랙맘바가 무서운점은 공격할때의 순간 동작이 뱀중에서 가장 빠르답니다. 그야말로 순식간에 물려 버린다는 물리면 20분내에 해독(혈청)을 하지 않으면 거의 죽습니다. 독은 신경독입니다... 2010. 3. 20.
황당한 기네스 기록들 기네스북이란? 영국의 맥주회사 기네스가 세계 최고 기록만을 모아 해마다 발행하는 세계기록집입니다. 기네스가 맥주회사라니 생뚱 맞죠? 기록광이라고 소문한 영국 맥허터가의 쌍둥이 형제 노스와 노리스에 의해 편집됩니다. 전세계 모든 영역내에서 모든 기록들을 수록할수 있으며 학문, 생활사등 수천 항목에 걸친 광범위한 기록들의 집합체입니다. 그렇다보니 정말 황당하고 엽기스런 기네스 기록들도 상당히 많답니다. Jorge Castro / 국적 멕시코 / 쇠갈고리에 피부를 꿰뚫어 걸치고 메달린 기록 2시간 50분 / 2007년 8월 수립 Charlie Bell(35세) / 국적 영국 / 벌레를 입으로 한꺼번에 많이 옮기기 17kg / 2009년 5월 수립 미국 오하이오주 / 다수의 인원이 몸에 불을 붙이고 오래 버티기.. 2010. 3. 19.
곤충과 기계와의 만남 실제 곤충의 박제에다 기계를 접합시켜 독특한 모양의 곤충을 만든 장본인은 미국 사진작가 마이크 리비입니다. 리비는 실제 곤충의 박제표본에다 기계를 겹합시킴으로서 생명과 기계와의 묘한 이질감을 한꺼번에 느낄수 있도록 했습니다. 실제로 리비는 아프리카, 중국, 남미등을 여행하며 곤충을 채집하였다고 하는군요. 곤충과 접합된 기계의 부품은 주로 시계부품이라고 합니다. 타란튤라입니다. 시계 톱니바퀴 달았는데 정말 묘한 느낌이군요. 메뚜기에 장착한 태엽 부품들 투구벌레에 손목시계 부품을 결합시켰다고 하는군요. 벌에 용수철 태엽과 톱니바퀴를 결합시켰습니다. 아름다운 풍뎅이와 손목시계를 겹합한 작품 실제로 부품들이 움직인다고 하네요. 전갈에 시계 부품과 라이터 부속품등으로 만든 작품이랍니다. 잠자리의 모습이 헬리콥터의.. 2010. 3.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