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157 한국의 얼굴 `아무르 표범` !! 아무르 표범 ~~ 영명은 Amur Leopard 아무르 표범은 멸종위기에 처해 있는 표범입니다. 한반도와 러시아 만주등의 극동지역에 널리 서식했던 종이죠. 옛부터 우리는 '범'이라고 해서 호랑이와 표범을 다 같이 그렇게 불렀습니다. 우리네 아무르 표범은 만주나 러이사쪽 보다 약간 덩치가 작았다고 합니다. 아마도 서식환경의 차이때문인것으로 파악됩니다. 러시아나 만주처럼 탁틔인 들판보다 울창한 산속이 많았으니 말입니다. 민첩하고 기동력있게 움직이기편하도록 말입니다. 지금은 극동지역에 겨우 60~70마리 정도로 멸종위기에 직면해 있습니다. 북한 개마고원에서 30여마리가 생존하고 있다고 하네요. 이 아무르 표범의 주된 서식지가 원래는 한반도 였다는 사실을 아십니까? 바로 우리 한반도의 얼굴마담격인 셈이죠... 2010. 3. 12. 비닐로 만든 200만원짜리 가방 루이비통. 그래서 비닐가방이 200만원이나 한다. 대놓고 뭐라고 싸질러 말하고 싶지만 그래도 사는사람이 있으니 파는거겠지. 가죽가방만 쓰다보니 질리니까 이런 가방 한번 쓰는것도 괜찮겠지 어차피 200만원정도면 뭐.. 껌값정도니까(페리슨힐튼레벨급) 뭐 사서 쓰겠다는데 내가 뭐라고 토 달 필요는 없는 물건이다. 루이비통의 핵심 디자이너 마크 제이콥스의 작품. 멜빵 즉 스크랩을 제외하고는 죄다 비닐제품이다. 가격은 1960달러 거의 200만원에 달하는 가격이다. 가격이 비싸니 특별한 비닐이겠구나 생각 하신다면 오산. 라이터로 슬쩍 지지면 그걸로 끝이다. 사실상 마크 제이콥스 같은 레벨급이면 금전적인 가치를 염두에 두고 디자인하지는 않았을것이다. 몇번 계속 보면 나름대로가 아닌 정말 루이비통 다운 디자인이구나 .. 2010. 3. 12. 신비한 식물의 세계 `바오밥 나무` 바오밥 나무는 열대 아프리카에 서식하는 주종으로 평균 높이 20m에 둘레 10m의 원통형 나무로 세계에서 가장 큰 거목 수종중 하나입니다. 아프리카에서는 신성수(신성한 식물)로 꼽히며 구멍을 뚫고 사람을 매장하기도 했습니다. 열매는 죽은 쥐가 매달려 있는 모습과 비슷해서 죽은쥐나무라고도 불리지요. 식용으로도 쓰입니다. 잎과 가지는 사료로 쓰인다고 하네요. 수령은 평균 5천년정도. 바오밥이란 나무명의 유래는 역시 이 나무를 처음 발견한 프랑스 식물학자의 이름에서 유래 됐다고 하네요. 식물학자의 이름은 M.아단송. 바오밥 나무는 모양이 꼭 꺼꾸로 자란듯한 나무의 모습입니다. 바오밥 나무는 유명한 전설이 있는데 태초에 신이 동물을 창조하고 각 동물들에게 한 그루의 묘목을 주면서 세상에 심어라고 했죠. 그때 이.. 2010. 3. 12. 북극과 남극의 풍경 북극이나 남극이나 정말 시리도록 새하얀 세계입니다. 북극과 남극의 하늘을 보면서 2010. 3. 12. 곰의 종류는 몇종일까? 곰[bear] 포유류 / 식육목 곰과 발가락 5개로 발다닥을 4개를 다 땅에 대고 걸어 다닌다. 이것을 척생성 동물이라고 부르지요. 청각. 시각보다 후각이 월등이 발달. 최고 수준의 사냥개와도 비교조차 되지 않을 정도의 슈퍼급 후각을 지녔다. 이빨은 42개로 공통. ~~ 아메리카 흑곰[black bear] ~~ 흑곰은 곰중에서 가장 생활력이 우수한 종이다. 북아메리카 대륙에서 가장 번성한 곰이다. 흑곰은 두종이 있는데 아시아 흑곰과 아메리카 흑곰으로 나뉜다. 아시아 흑곰이 바로 우리가 잘아는 반달가슴곰이다. 아메리카 흑곰은 정확히 Ursus americanus로 반달가슴곰과 공통조상이다. 곰중에서 중간정도의 몸집이다. 보통 150~180cm. 야생에서 최상위 포식자나 동족인 회색곰을 만나면 식사감으로 전.. 2010. 3. 12. 블랙풀릿(Black Pullet)의 비밀 - 기획특집 [정리편] 블랙풀릿(Black Pullet) 일명 검은암탉 프랑스의 마법서 전 근대적 마법서이다. 원류는 고대 켈트족의 드루이드교단이다. 등등 말많은 마법서중 한권입니다. 그렇지만 인정되어진 몇몇 안되는 마법서이기도 합니다. 누군가 장난처럼 쓰여진 붉은용이나 기타 마법서와는 확연히 다른 종류의 법서이죠. 타리스만(부적)이라는 생소하자면 생소한 소재를 이용한 마법서 입니다. 일종의 정령소환이라고 볼수 있고 주술적인 특성이 강한 마법서입니다. 지금까지 저자(프랑스 장교)가 피라미드 노인으로 부터 전수받은 22가지의 타리스만을 설명해 드렸습니다. 각기 고유한 사용방법과 제작방법이 있습니다. 활용해 보라고는 절대 권하지 않습니다 다만 취미삼아 정말 안전하고 선한 타리스만은 사용해 보셔도 무방합니다만. 어디까지나 제작이 쉽.. 2010. 3. 9. 블랙풀릿(Black Pullet)의 비밀 - NO22 타리스만 NO. 22 블랙풀릿의 22번째 타리스만입니다. 반지안에 새겨질 특성 숫자 NO. 22 당신은 지옥의 힘을 받아 그들(정령이라고 지칭하자)이 계획한것들을 유산(재물,재화)받고 그들은 당신을 위해 봉사할 것이다. 어떠한 계획과 유산(재물)을 만들수 있는 방법과 지식을 얻을수 있다. 타리스만은 붉은공단(가운데부분만 붉어야 함)에 은사와 금사로 수놓아 제작한다. 가운데부분 붉은색 외곽주위는 백색, 타리스만의 외곽원과 숫자문양은 흑백실크로 수놓아야한다. 반지는 왼손 새끼손가락에 착용한다. 그리고 가슴(심장)위에 올려 놓고 주문을 암송한다. 타리스만은 심장위(안쪽 포켓주머니)에 넣어 둔다. "Actatos, Catipta, Bejouran, Itapan, Marnutus" 상당히 난해한 타리스만입니다. 해석도 불.. 2010. 3. 9. 내셔널 지오그래픽[National Geographic] 열 여섯번째 이야기 경이로운 내셔널 지오그래픽[National Geographic] 그 열 여섯번째 이야기속으로 경이로운 자연의 세계 내셔널 지오그래픽[National Geographic] 2010. 3. 9. 설표의 아름다운 모습 설표는 이전에 한번 리포팅 한적이 있습니다. 고양이과 동물중 가장 아름다운 무늬와 형체를 가지고 있다는 녀석입니다. 서식하는곳이 고산지대라 사람의 눈에 거의 띄지않는것도 녀석도 신비하게 만드는 한 요인인것 같습니다. 대충 티벳의 고원지대, 히말라야 같은 1년내내 눈으로 뒤덮인 설원에 서식하는 녀석들입니다. 설표라는 영명이 스노우 레오파드인것을 보면 잘 알수 있죠. 서식환경의 조건과 그 아름다운 가죽을 노린 무분별한 포획으로 이제 멸종위기에 몰린 녀석들입니다. 아시다시피 표범의 조상에서 나온 형제입니다. 아시아의 운표(구름표범)도 형제지요. 흑표, 표범, 설표, 운표등 표범형제들은 정말 간지 좔좔 입니다. 2010. 3. 9. 과거와 현재의 오묘한 조화 사진이란 과거의 시각적 모습을 남겨 둘수 있습니다. 오랫동안 말이죠. 과거의 사진을 보면 현제 이곳의 모습이 어떠했는지 정확히 알수 있겠죠. 그런 사진을 현제 모습과 대비해서 묘한 느낌을 전해주는 작품들입니다. 2010. 3. 9. 이전 1 ··· 57 58 59 60 61 62 63 ··· 116 다음 반응형